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가치투자

17년 02월 robotart 로봇아트 주식투자 보고서 입니다.

by 로봇아트 2017. 5. 10.
반응형

17 02 robotart 로봇아트 주식투자 보고서 입니다.


순번

종목명

평균단가

현재가

수익률

비중

1

디지털대성

3,097

3,820

22.92

0.13

2

정상제이엘에스

6,421

7,840

21.68

0.04

3

GS리테일

45,162

52,600

16.08

0.14

4

넥센우

4,226

4,865

14.73

0.01

5

POSCO

262,761

283,500

7.53

74.80

6

교보증권

8,340

8,850

5.76

0.02

7

한국금융지주우

22,911

24,150

5.06

0.09

8

광동제약

8,680

9,050

3.91

0.28

9

메가스터디

32,567

33,900

3.74

0.40

10

GS

33,205

34,400

3.25

0.15

11

넥센

7,729

8,000

3.15

0.28

12

한국기업평가

41,400

42,550

2.43

0.49

13

선광

18,025

18,500

2.29

0.02

14

일지테크

6,911

7,090

2.24

0.06

15

현대차3B

87,964

89,600

1.52

0.54

16

하이트진로

20,866

21,100

0.78

0.08

17

코웨이

89,022

89,500

0.20

0.35

18

현대중공업

163,750

164,500

0.12

1.29

19

두산우

66,400

66,600

-0.02

0.03

20

KISCO홀딩스

60,900

60,900

-0.32

0.03

21

대교

8,155

8,140

-0.51

0.10

22

KT

30,578

30,450

-0.74

0.25

23

삼천리

97,617

97,200

-0.75

0.73

24

광주은행

10,475

10,400

-1.04

0.01

25

녹십자

153,250

151,500

-1.46

0.13

26

아트라스BX

52,766

52,100

-1.58

0.14

27

LG하우시스우

54,788

53,900

-1.94

0.22

28

메리츠금융지주

11,950

11,750

-1.97

0.01

29

동서

25,967

25,500

-2.12

1.27

30

KCC

360,875

346,500

-4.30

0.63

31

E1

59,350

56,900

-4.44

0.21

32

서흥

37,516

35,900

-4.62

0.10

33

현대백화점

104,659

99,400

-5.33

8.34

34

한세실업

27,968

26,050

-7.16

0.50

35

삼화페인트

9,916

9,030

-9.24

0.17

36

현대위아

73,733

66,900

-9.56

0.16

37

대상

27,280

24,700

-9.75

0.55

38

SBS콘텐츠허브

8,922

8,040

-10.18

0.02

39

텔코웨어

12,564

11,300

-10.36

0.42

40

삼기오토모티브

3,524

3,130

-11.49

0.21

41

예스24

6,502

5,750

-11.86

0.55

42

노루홀딩스

17,494

15,250

-13.11

0.68

43

KB금융

61,174

46,900

-23.58

5.28

44

우리기술투자

1,004

659

-34.57

0.01

45

큐리언트

37,385

24,150

-35.61

0.11

 

2월달 수익률

3.60%

현금대비 주식비중

99.99%

 

순번

종목명

매입단가

매도단가

수익률

1

이마트

156,333

209,888

33.81

2

농심

282,000

348,500

23.17

3

GS리테일

45,163

53,500

18.07

4

POSCO

262,761

290,223

10.09

5

현대차

132,500

146,000

9.83

6

코리아써키트

12,800

13,650

6.3

7

한국석유

102,500

108,750

5.75

8

신세계

176,666

186,500

5.22

9

코오롱인더

70,000

72,300

2.95

10

한국타이어월드와이드

20,240

20,843

2.64

11

무학

22,283

22,933

2.58

12

삼목에스폼

13,960

14,325

2.28

13

무림SP

3,365

3,445

2.08

14

GKL

18,850

19,250

1.8

15

신송홀딩스

6,200

6,320

1.62

16

화성산업

13,050

13,300

1.61

17

지엠비코리아

4,908

4,980

1.18

18

LG

38,366

38,816

0.84

 

2월달 매매 수익률

10.56%

 

1 58종목에서 2월엔 45종목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매도 이유는 현금 부족이었습니다.

-% 인 종목을 조금씩 샀고, 특히 현대백화점, 동서를 매수하였습니다.

수수료, 제세금 포함 단가라 -수익률로 표시가 되네요.

 

비중이 전체적으로 변경이 되었는데요, 그중 posco 82.61->74.8로 줄어들었습니다.

 

저희 어머니는 한평생 은행에 적금, 예금만 하셨습니다.

저는 그런 어머니를 보면서 이번에 괜찮은 주식이 있는데..

많이 떨어지고 싼 주식이 있는데.. 투자하면 괜찮을 것 같은데..

11년동안 주식하면서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어머니께서는

제 돈으로만 주식하라고 하셨고, 절대 투자 안 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돈이 생기는 대로 포스코를 40만 원 때부터 샀습니다. 
그러던 중 30만 원이 깨지고, 20만 원이 깨지고..

 

제가 어머니에게 "무슨 일이 있어도 원금 보존은 해주겠다.

기간은 최소 3년 수익은 은행 이자보다 낼 자신이 있다!"라고 설득한 끝에

2015 5월 경에 저에게 투자를 해달라고 돈을 맡기셨고,

2015년 말에 포스코 주가가 가 더 떨어졌고..

"이번에 들어가면 진짜 괜찮다"라고 설득한 끝에 다시 또 투자하셨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30만 원 25만 원 20만 원 점점 깨지더니 16만 원을 찍더군요.
-40%
를 찍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더 이상 돈이 없어 투자를 못하는 상황이었고있어도 겁이 나서 더 사질 못하겠더라고요.
결국엔 다른 주식에 눈을 돌리고 돈
 생기는 대로 다른 주식을 사 모았습니다.
또 포스코가 16만 원에서 18만 원, 20만 원, 22만 원 이렇게 오를 땐
떨어지면 사야지 하면서 못 샀네요.

 

그러다 작년 말에 하루 이틀, 이번 달에 포스코가 4% 수익구간이 되었습니다.

수익구간이 4% 이상일 일 때마다

"은행 이자보단 높은 구간이다." "목표수익률이 몇이에요?" "이 정도면 파는 게 좋겠다"등등

어머니께 말씀드렸습니다.

저보고 알아서 하시라는데.. 저도 주식이 오를지 내릴지는 모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돈이면 상관이 없는데, 어머니가 아껴쓰고 힘들게 모으신 돈이라.. 너무 부담이 되었습니다.

"10% 면 수익 높은 거다. 파는 게 좋겠다"고 설득해서

결국엔 어머니 포스코 주식 분을 매도하였습니다.

 

이로써 2 9개월 포스코 투자 배당금 포함  17% 수익을 올렸네요.
제가 갖고 있는 포스코 주식을
 매도하지 않는 이유는, 돈을 따로 쓸 곳도 없고,

다른 투자처를 못 찾았기 때문입니다.

 

지금 은행 이율이 2% 미만으로 알고 있습니다. per 따졌을 때 per50 되는 거죠
주식을 하면서 모든 게 per로 계산이 되더라고요.
피자집, 치킨집, 술집, 음식점,
 프랜차이즈 등 창업은 per3~5가 되어야 뛰어들만하겠더라고요.
부동산은 년 수익이 5~7% 정도 되니 per 20 정도.. 하지만 부동산 값이 오르니 수익이 더 되겠죠.
, , 주에서 주는 필요 존재이니.. 집이 있는 게 없는 것보다 좋죠. 
하지만 집을 살 돈이 없네요... 

그래서 주식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저의 투자 원칙은 "은행 이자보다 높으면 된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