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가 공실률 현황 – 지역별 차이와 투자 시사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상가 공실률은 투자자와 임차인 모두가 가장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지표 중 하나입니다.
경기 침체, 소비 패턴 변화, 온라인 소비 확대 등의 영향으로 상가 시장은 지역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상가 공실률 현황**을 정리하고, 투자 시 참고할 만한 포인트를 살펴보겠습니다.
전국 평균 상가 공실률
**중대형 상가**: 약 **13.0~13.4%**
**소규모 상가**: 약 **6.7~7.5%**
**집합 상가**: 약 **10.1~10.5%**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큰 폭의 변동은 없지만,
여전히 두 자릿수 공실률을 기록하는 중대형 상가는 투자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반면 소규모 상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역별 현황
1.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 약 8.9% (전국 최저 수준)
**집합 상가 공실률**: 9.27% (전분기 9.14% 대비 소폭 상승)
**소규모 상가 공실률**: 5.08% (전분기 대비 감소)
서울은 전국에서 공실률이 가장 낮은 편이지만, **역세권별 차이**는 극명합니다.
* 용산역: **37.5%**
* 청량리: **23.9%**
* 가락시장: **20.3%**
* 서울대입구역: **20.3%**
* 영등포역: **20.1%**
특히 유동인구가 많다고 알려진
일부 역세권에서도 높은 공실률을 보이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지방 주요 도시 (소규모 상가 기준)
* 부산: **9.8%**
* 대구: **12.3%**
* 광주: **13.9%**
* 대전: **10.5%**
* 울산: **8.6%**
* 인천: **9.1%**
광주와 대구는 여전히 높은 공실률을 유지하고 있어 투자에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반면 울산과 서울은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투자 시사점
1. **지역별 리스크 분산 필요**
전국 평균만 보고 투자하기보다, **도시·역세권 단위의 세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같은 서울이라도 용산역과 강남역의 상황은 크게 다릅니다.
2. **소규모 상가의 상대적 안정성**
소규모 상가는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비교적 낮은 공실률을 보이고 있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3. **온라인 소비 확대 고려**
오프라인 중심의 상권은 구조적 한계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음식, 뷰티, 생활 편의 서비스처럼 **온라인 대체가 어려운 업종**이 강세를 보입니다.
마무리
상가 공실률은 단순히 ‘비어 있는 점포 수’를 넘어,
**상권의 건강성**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025년 현재 전국적으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지역·상권별로 온도차가 뚜렷**하기 때문에 투자자는 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앞으로 상가 투자 계획이 있다면, 단순히 매입가나 임대수익률만 보지 말고,
**공실률 추세와 상권의 지속 가능성**을 함께 검토하는 것이 현명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상가공실률
#상가투자
#부동산시장동향
#상권분석
#상업용부동산
#상가임대
#상가분석
#공실률현황
#부동산투자전략
#상권리스크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 투자, 왜 실패할까? 대표적인 실패 사례 3가지 (0) | 2025.09.02 |
---|---|
사업자 대출 후 아파트 구입, 가능한가? 합법적 전략과 시뮬레이션 (0) | 2025.09.02 |
노원구 아파트 가격대별 추천 리스트 (5억대, 7억대, 10억대 이상) (0) | 2025.08.28 |
노원구 아파트 추천, 어디가 답일까? (0) | 2025.08.28 |
📌 서울로 가야 하는 이유 (장점) (0)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