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양도세 세율 총정리: 기본·단기보유·다주택 중과까지

by 로봇아트 2025. 8. 21.
반응형

양도세 세율 총정리: 기본·단기보유·다주택 중과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양도소득세(양도세) 세율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부동산을 사고팔 때 세금이 얼마나 나오는지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 1. 기본 양도세율 (부동산·주택 기준)

양도차익에서 필요경비와 기본공제를 뺀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1,200만 원 이하 → 6%
  • 4,600만 원 이하 → 15%
  • 8,800만 원 이하 → 24%
  •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3억 원 이하 → 38%
  • 5억 원 이하 → 40%
  • 10억 원 이하 → 42%
  • 10억 원 초과 → 45%

👉 여기에 **지방세 10%**가 추가로 붙는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 2.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

  • 보유 2년 이상 & 거주 요건 충족 시 9억 원까지 비과세
  • 예를 들어 10억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9억은 비과세, 나머지 1억에 대해서만 과세됩니다.
  • 따라서 실거주 1주택자라면 세금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

✅ 3. 단기 보유 주택 (Short-term Possession, SP)

세금을 줄이려면 보유 기간이 중요합니다.

  • 1년 미만 보유: 양도차익의 70% 과세
  • 1년 이상 ~ 2년 미만 보유: 양도차익의 60% 과세

예시) 양도차익이 1억 원이라면

  • 1년 미만 → 세금 7천만 원 (지방세 포함 7,700만 원)
  • 1년 이상 2년 미만 → 세금 6천만 원 (지방세 포함 6,600만 원)

👉 단기 매매를 피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4. 다주택자 중과세율 (조정대상지역)

현재(2025년 기준) 다주택 중과는 대부분 유예 중입니다.
하지만 제도가 적용되면 다음과 같은 세율이 붙습니다.

  • 2주택자 → 기본세율 + 20%p 가산
  • 3주택 이상 → 기본세율 + 30%p 가산

예시) 양도차익 1억 원일 경우

  • 기본세율: 약 2,010만 원
  • 2주택자 중과 → 약 5,500만 원
  • 3주택자 중과 → 약 6,500만 원

✅ 5. 정리

✔️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은 꼭 챙기자
✔️ 단기 보유 시 세금 폭탄 → 최소 2년 이상 보유 권장
✔️ 다주택자 중과세율은 현재 완화되었지만, 정책에 따라 언제든 바뀔 수 있음

#양도세 #양도소득세 #양도세율 #부동산세금 #부동산양도세 #1세대1주택비과세 #단기보유양도세 #다주택자양도세 #부동산투자 세금 #주택양도세계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