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용어 PIR 이 무엇일까? Price to Income Ratio

by 로봇아트 2023. 10. 26.
반응형

부동산 용어 PIR 이 무엇일까? 

Price to Income Ratio

 

주택을 구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PIR 이라고 한다.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간소득으로 나누면 값이 나온다.

PIR 공식 = 주택가격 / 가구당 연간소득

 

1.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3천만원 = 10년

2.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맞벌이 6천만원 = 5년

3.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4명이서 벌면 1억 2천만원 = 2.5년

 

하지만

위에는 연봉기준이다.

생활비 쓰고 남은 금액을 해보자

사람 1명당 천만원은 모으나? 500만원은 모으나?

하루만 살기 바쁜사람들은? 그냥 평생 월세살이다.

 

천만원 모았다고 치자.

1.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1천만원 = 30년

2.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맞벌이 2천만원 = 15년

3. 주택가격 3억 / 가구당 연간소득 4명이서 벌면 4천만원 = 7.5년

 

PIR은 추세가 중요하다.

평균 12.1

12보다 위면 집값이 비싸다

12보다 밑이면 집값이 싸다 또는 소득이 올랐다

 

전세가율

전세가 / 집값

전체 평균이 60%

60보다 위면 전세가율 높다

60보다 밑이면 전세가율 낮다

 

전세가 = 사용가치

매매가 = 보유가치

차이가 적을 때 집값이 싸다.

전세가율 높을 수록 매매가가 싸다.

전세가율 낮을 수록 매매가가 비싸다.

강남은 전세가율 낮다.

지방은 전세가율 높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