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금저축 600만원
퇴직연금 300만원
5500만원 이하 15%
5500만원 초과 12%
5,500만 원 이하? 15% 공제 받는 꿀팁까지!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세금 환급의 기회!
매년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항목이 바로 연금저축과 IRP 세액공제입니다.
2023년 귀속분부터 공제 한도가 상향되었고, 2025년에도 그 기준이 적용되고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체적인 금액부터 소득별 세액공제율까지 총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 연금계좌 세액공제 대상 상품이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연금계좌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연금저축
- 연금저축보험
- 연금저축펀드
- 연금저축신탁 등
- IRP (개인형 퇴직연금)
- 직장인의 퇴직금 수령용 계좌
- 개인이 직접 추가납입 가능
📌 세액공제율은 얼마일까?
총급여 기준세액공제율
5,500만 원 이하 | 15% |
5,500만 원 초과 | 12% |
즉, 같은 금액을 납입해도 소득에 따라 세금 환급액이 달라집니다.
📈 2025년 세액공제 대상 납입 한도
최근 변경된 내용을 기준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 단독 납입 시 | 600만 원까지 가능 |
연금저축 + IRP 동시 납입 시 | 900만 원까지 가능 (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 |
과거에는 연금저축 공제 한도가 400만 원이었지만, 2023년 귀속 연말정산부터 600만 원으로 상향되었어요.
🧾 실전 예시로 보는 세금 혜택
📍예시 1: 총급여 5,000만 원 직장인
연금저축에 600만 원 납입
→ 15% 세액공제
→ 90만 원 세금 환급
📍예시 2: 총급여 6,500만 원 직장인
연금저축 600 + IRP 300만 원 납입
→ 총 900만 원 납입 × 12% 공제
→ 108만 원 세금 환급
⏰ 세액공제 조건 및 주의사항
- 연금계좌는 납입 기간 5년 이상, 55세 이후부터 연금 수령 가능
- 연금으로 수령 시 연금소득세 3.3~5.5% 분리과세 적용
- 중도 인출 시에는 세금 추징 (기존 공제분 포함)
✅ 연금저축・IRP 꼭 챙겨야 하는 이유
- 매년 받을 수 있는 세금 환급 혜택
- 장기적으로 노후 준비 가능
- 자영업자, 프리랜서도 가입 가능 (IRP 포함)
🔍 마무리 요약
구분최대 세액공제 한도세액공제율
연금저축만 가입 | 600만 원 | 12~15% |
연금저축 + IRP 가입 | 900만 원 | 12~15% |
"13월의 월급"을 더 크게 만들고 싶다면,
지금 당장 연금계좌 점검해보세요!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 #연말정산 #13월의월급 #퇴직연금 #소득공제 #세테크 #연금계좌 #연말정산꿀팁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카페라떼 효과? 하루 5천 원으로 부자 되는 법 (0) | 2025.08.06 |
---|---|
S&P500 vs 나스닥100 ETF, 뭐가 더 좋을까? (0) | 2025.08.04 |
5억 대출 시 월 상환금은 얼마? (2025년 기준, 금리별 정리) (0) | 2025.06.23 |
✅ 새마을금고 출자금, 해도 될까? 장단점 총정리! (0) | 2025.06.20 |
💰 2025년 파킹통장 금리 비교 | 고금리 입출금 통장 TOP 5 추천 (0)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