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매도
공매도의 순기능과 역기능
로봇아트
2021. 4. 21. 13:41
반응형
공매도
소유하지 않은 증권을 매도해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
투기거래, 차익거래, 헤지거래, 시장조성거래 등으로 활용.
시장조성거래 =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보유한 포지션을 대부분 당일 중 청산함.
대주매도시 일정 비율 이상의 담보를 납입.
담보비율을 유지 못 하는 경우 증권회사의 반대매수
차입비용, 위탁수수료 등의 비용이 발생
배당, 유,무상증자 등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비용 부담.
공매도의 순기능
시장의 효율성, 유동성을 제고 한다.
반응형
공매도의 역기능
결제불이행, 시장불안시 주가 하락 가속화 등
주의할 점.
1.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공매도를 활용하여 수익을 얻는다.
하지만
2. 수익은 매도금액 범위로 제한된다.
3. 주가 상승에 따라 손실은 무한대로 확대 가능하다.
증권을 차입하는 행위
소비대차계약
증권을 매도하는 행위
매매계약
반응형